시싱허스트캐슬 정원 Sissinghurst Castle Garden

요약 영국 켄트(Kent) 주에 위치한 네셔널 트러스트 소속 정원. 1930년대에 소설가 비타 색빌웨스트와 외교관·정치가·작가였던 남편 해럴드 니콜슨이 시싱허스트 캐슬(Sissinghurst Castle)에 미술공예풍 정원을 조성했다. 여러 해에 걸쳐 정성스럽게 가꾸었으며, 현재는 영국에서 가장 유명하고 아름다운 정원 중 하나로 손꼽힌다. 매년 전 세계에서 약 16만 명의 정원 애호가들이 방문한다. 1930년, 매우 낙후된 상태의 . . . 계속 읽기

시인의 정원 Garten des Poeten

스위스 조경가 에른스트 크라머 Ernst Cramer가 1959년 취리히 정원박람회에 출품한 조형 정원. 기존 정원 개념의 틀을 완전히 깬 급진적 작품. 잔디 피라미드 네 개, 원추형 잔디조형물 한 개, 얕은 사각형 연못으로만 이루어진 조형 정원 또는 건축적 정원을 시도했다. 동시에 빨간 제라늄이 가득 담긴 콘크리트 화분을 옆에 배치하여 “이것이 당신들이 생각하는 . . . 계속 읽기

시카고 파 Chicago School

[dropcap style=”default, circle, box, book”]시[/dropcap]카고파는 19세기 말 시카고를 중심으로 시작된 건축 경향 혹은 철골구조를 개발하여 최초의 고층빌딩을 탄생시킨 건축가 그룹을 일컫는다. 이때 추구한 건축미학은 유럽의 초기 모더니즘과 부합된다. 1871년 시카고에 큰 화재가 발생하여 당시 주로 목재로 지어졌던 집들이 잿더미가 되었다. 이 즈음 이미 철골구조기법이 고안되었으므로 시카고의 건축가들은 이를 십분 활용하여 . . . 계속 읽기

아돌프 로스Adolf Loos

아돌프 로스Adolf Loos(1870 – 1933)는 오스트리아의 건축가, 건축평론가, 문화저술가로 국제적 명성을 얻었으며 모더니즘 건축의 선구자였다. 생애 석공이며 조각가였던 아버지에게 예술적 기질과 청각 장애를 물려받음. 품행이 방정치못하다는 이유로 여러 학교를 전전함. 1885-1889: 체코의 브르노에서 국립공예학교 졸업 1890-1893: 드레스덴 공대 건축학과 졸업. 같은 해 도미. 여러 직업을 전전하다가 1896년 오스트리아로 돌아 감. . . . 계속 읽기

에른스트 크라머 Ernst Cramer 1898-1980

에른스트 크라머 Ernst Cramer (1898-1980). 스위스 조경가. 1950년대 후반 조경의 “좋은 형태”를 찾는 과정에서 조형과의 접목을 꾀하여 20세기 후반의 조경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함. 크라머의 영향은 스위스에 머물지 않았으며 독일어권 전역과 미국에까지도 미침. 특히 1980년 대 소위 말하는 “생태조경”이 득세했을 때 크라머의 후배 디터 키나스트 교수가 그의 작품을 재해석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 . . 계속 읽기

우정섬 공원, 포츠담 Freundschaftsinsel Potsdam

포츠담의 우정섬 공원 (Freundschaftsinsel)은 독일 브란덴부르크 주 포츠담 시를 흐르는 누테강과 운하 사이에 형성된 반 인공섬 위에 조성된 공원이다. 1937년 칼 푀르스터가 숙근초 전시원의 개념으로 조성하여 유명해 졌으며 현재 정원문화재로 보호되고 있다. 개요 독일 브란덴부르크 주 포츠담 시를 흐르는 누테강과 노이에파르트 운하사이에 형성된 반 인공섬으로 섬 전체가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 . . . 계속 읽기

윌리엄 로빈슨 Robinson, William (1838-1935)

요약 윌리엄 로빈슨 William Robinson (1838-1935)은 북아일랜드 커러모어Curraghmore, 워터포드Waterford 후작의 영지관리원의 아들로 태어나 어린 나이에 물주는 소년으로 조기 정원사 교육을 받기 시작, 아일랜드 글라스네븐의 국립식물원에서 교육을 받았다고 하는데 이에 대한 근거 부족. [1]Bisgrove p. 12 1861 첫 직장에서 상사와 다투고 런던행. 리젠츠파크 내의 왕립식물학회 정원의 숙근초원 책임자로 취업. 이것이 터닝포인트가 . . . 계속 읽기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