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곡 신전 Valley Temple

계곡신전Valley Temple이란 일종의 전전前殿으로서 이집트 종교의식 중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강을 건너는 의식’을 위해 축조되었다. 12왕조 말 스네르푸 왕대부터 건설되기 시작했다. 나일강의 동안에서 서안으로, 즉 산자들의 세상에서 죽은 자들의 세상으로 건너오는 것이 장례의식의 첫 단계였다. 이때 강 서안에 별도의 신전형 건축을 세우고 거대한 테라스  선착장을 조성했는데 이를 계곡제전이라 한다. 신전 . . . 계속 읽기

고대 이집트 식물

고대 이집트에서 사용했던 식물 중 가장 대표적인 27종 목록 [주: 알파벳 순이 아니라 페넬러피 홉하우스의 서양정원사에서 언급된 순서로 정렬했음. 1열에 해당 본문 페이지 수 명시.] 고대 이집트에서 심고 재배했던 식물이 모두 120여종이 넘는 것으로 밝혀졌다. 홉하우스가 본문에서 언급하고 있는 식물은 30여 종에 달하는데 그 중 우선 27종을 선발하여 목록에 실었다. 각 식물에 대한 소개는 아직 일부만 이루어졌으며 순차적으로 보완해 . . . 계속 읽기

네바문 석묘 Tomb of Nebamun

[dropcap style=”default, circle, box, book”]고[/dropcap]대 이집트의 석묘 중 하나.  화려하고 아름다운 벽화로 유명하다. 이 벽화는 고대 이집트 최고의 예술 작품으로 여겨지며 이 벽화를 그린 예술가는 이집트의 미켈란젤로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기원전 1400~1350년 경에 제작. 1820년 그리스 출신의 탐험가 죠반니 다타나시가 발견. 영국 이집트 학자며 외교관, 예술가였던 헨리 솔트 경의 의뢰를 받아 . . . 계속 읽기

네바문의 서천 정원 The Garden of the west

이집트 서테베의 죽은 자들의 도시에서 발견된 네바문의 석묘의 벽화에 그려진 정원을 말한다. 낙원과 같은 저세상의 정원을 보여 준다. 그림의 오른 쪽 상단에 보면 돌무화과나무에서 여신이 나타나 무덤 주인에게 과일을 주며 환영하고 있다. 이 여신은 환생을 책임지고 있는 하늘의 여신 누트Nut 이다. 이는 정원이 저 세상에 속한다는 사실을 확인해 준다. 중앙에 . . . 계속 읽기

데이르 엘 바하리 Deir-el-Bahari

데이르 알 바하리. 세 명의 파라오 장제전이 있던 곳인데 전면에 보이는 대형 건축물이 하트셉수트 여왕의 장제전이며 좌측에 멘투호테프 2세(하트셉수트 여왕의 부친)의 장제전 폐허가 조금 보이며 투트모세 3세(여왕의 아들)의 장제전은 뒤에 가려서 알아보기 어렵다. © buxhoeveden 데이르 엘 바하리Deir-el-Bahari는 고대 이집트 왕들의 묘역, 즉 네크로폴리스 중 하나이다. 나일강 서안 테베 인근의 . . . 계속 읽기

돌무화과 나무

돌무화과나무 (학명: Ficus sycomorus. 영명: sycomore fig)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지중해 유역과 아프리카에 주로 분포. 이집트. 이스라엘. 시리아 등에서 지금도 재배되고 있음. 키는 그리 크지 않으나 옆으로 벌어지며 수관이 넓은 수목. 특히 고대 이집트에서는 대추야자와 함께 매우 중요한 나무로 다양하게 이용되었음. 그늘목, 가로수 외에도 목재는 선박을 비롯하여 가구, 관 제작 . . . 계속 읽기

루드비히 보르햐르트Ludwig Borchardt

루드비히 보르햐르트 Ludwig Borchardt, 독일 이집트학자, 건축가. 1863년 10월 5일 베를린 출생 / 1938년 8월 12일 파리에서 사망, 카이로에 묻힘. 노프레티티 왕비의 흉상을 발견한 인물로 널리 알려졌으나 무엇보다도 고대 이집트 건축 연구에 혁혁한 공을 세움. 베를린 대학에서 건축학, 이집트학 수학. 1895년 프로이센 과학아카데미의 의뢰를 받아 이집트로 발굴여행. 아수안 댐 건설로 . . . 계속 읽기

맘미시 Mammisi

고대 이집트의 탄생전 (誕生殿). 신전 복합체의 일부로서 신전 담장 내부에 위치하며 중앙축과 구십도 각도로 배치되었다. 기원전 8세기경부터 서기 4세기까지 조성.  신화적 배경 맘미시는 제 20 왕조 대에 도입된 어린이 신과 연관된다. 초기에는 신전 벽화에 묘사되거나 신의 이름에 아호를 쓰는 데 머물다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초에 비로소 종교적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삼상신 . . . 계속 읽기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