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싸우 바우하우스 건물

데싸우 바우하우스 또는 데싸우의 바우하우스 건물은 1925~1926년 사이 발터 그로피우스가 설계한 건물군을 일컫는다. 1925년 바우하우스의 바이마르 시대가 막을 내리고 데싸우로의 이전이 결정되자 새로운 출발을 위해 신축 건물이 필요했다. 이에 데싸우(현 데싸우-로슬라우)시에서 부지를 제공하고 발터 그로피우스에게 설계를 의뢰했다. 이 시점에 이미 데싸우로 이전하여 건축설계사무실을 열었던 그로피우스는 바로 설계에 착수했으며 시공을 서둘러 이듬해 1926년 입주하게 되었다.

목차

건축


발터 그로피우스는 1차 대전 이전, 즉 1911~1912년에 이미 파구스 공장 건물을 지으며 새로운 개념의 건축기법을 성공리에 시도한 바 있다. 그로부터 십 여년 뒤에 세운 데싸우의 바우하우스 건물은 이에서 한층 더 발전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세 채의 본 건물, 즉 공방건물, 아틀리에 하우스와 기술학교 건물(후일 직업학교로 개칭됨)을 각각의 기능에 따라 모두 다르게 디자인했으며 층수 역시 서로 다르게 하여 공방건물은 3층, 기술학교는 4층 및 아틀리에는 5층으로 구성했다. 기존 건축에서 반드시 감안했던 중앙축을 무시한 채 세 채의 건물을 프로펠러 형태로 배치한 것 또한 특징적이다. 3층의 공방건물과 4층짜리 기술학교를 잇는 2층 교량건물에는 교무실, 학교 행정실 등이 들어섰다. 공방건물과 고층의 아틀리에 하우스 는 단층의 교량건물로 연결되었으며 대강당, 무대, 식당 등이 들어서 일명 축제동이라고도 불렸다. 무대 양쪽의 벽을 틀 수 있도록 설계하여  축제나 대형 행사가 열리면 대강당, 식당, 무대, 로비 등 일층 건물의 모든 공간이 하나의 대형 축제무대로 탈바꿈했다. 식당 전면이 유리창으로 되어 있으며 앞에 넓은 테라스와 대형 운동장을 조성했다.

아틀리에 하우스는 기숙사의 변형으로서 학생들과 영마이스터들이 살며 일할 수 있도록 각 20  m² 규모의 주거형 아틀리에 20 실을 배치했다.

바우하우스의 대명사처럼 여겨지는 유리건물이 작업실 동이다. 철근 골조에 유리로 외피를 입힌 커튼 월 기법을 적용, 골조가 그대로 내보이게 하여 물의를 일으켰다. 건물 모퉁이도 기둥으로 지탱하지 않고 유리로 구성한 것이 특징. 이 역시 파구스 공장에서 이미 성공적으로 시도했었다.  투명성, 묵중하지 않은 날렵한 느낌과 장식을 일체 배제한 심플함으로 새로운 건축 미학을 제시했다.

커튼월외에도 건물마다 넓은 유리 면적을 배치했다. 이로써 건물 안팎을 경계짓는 벽이 사라졌으며 안과 밖의 관계를 새롭게 정의했다.

백색이 지배적이어서 골조의 검은 색과 대조를 이룬다. 반면 실내는 구조와 외피의 색을 다르게 하여 서로 구분했다. 전 건물의 색채구성은 벽화 학과에서 직접 시공했고 조명은 금속공예학과에서 만들어 설치했으며 대강당, 식당과 아틀리에의 철제 가구는 마이스터 마르셀 브로이어Marcel Breuer 직접 디자인했다. 글씨체는 바우하우스 조판학과에서 개발했다.

1932년 나치스가 정권을 잡아 <공산주의자들의 소굴>이라 비판, 압력을 가하다가 폐교했다. 당시 교장이었던 미스 판 데어 로에가 베를린에서 건물을 얻어 새 출발하고자 했으나 일 년 만에 문을 닫았다. 2차 대전 중에 건물이 크게 훼손되었다. 전후에 임시로 재건하여 이용하다가 1972년 문화재로 등록되며 복원되었다. 1996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자 재차 복원작업이 시작되어 2006년에 완료되었다. 1994년 바우하우스 데싸우 재단을 설립, 건물에 입주하여 문화유산의 관리, 연구와 홍보에 힘쓰고 있다.

조경


조경을 별도로 전문가에게 의뢰하지 않고 그로피우스가 직접 설계했다. 당시 조경도면이 전해지지 않기 때문에 사진과 문헌자료를 분석한 결과 도로변의 가로수 외에는 나무도 심지 않은 사각형의 잔디밭과 대형 운동장으로만 구성되었음이 밝혀졌다. 쉼터, 휴게공간 등의 시설도 일체 배제했다. 그로피우스의 정원개념과 조경관에 대해선 별로 알려진 것이 없으나 바우하우스의 경우 그의 <새로운 건축>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인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후일 바우하우스가 폐교된 후 건물 이용자들이 나무도 심고 더러 시설도 배치했으나 복원과정에서 모두 원상태로 되돌려놓았다.

바우하우스 현재


바우하우스 1920년대


 

마이스터 하우스


마이스터 하우스는 마이스터들을 위한 주택을 말하며 바우하우스 건물과 동시에 설계하고 동시에 완공되어 1926년 마이스터들이 가족과 함께 입주했다. 모두 4채를 지었는데 교장 그로피우스 주택만 단독주택이고 나머지 세 채는 두 가구를 위한 더블하우스, 즉 쌍둥이 주택으로 지었다.

아래 배치도의 순서로 보면 가장 왼쪽이 그로피우스 관사고 오른 쪽으로 가면서 레스로 모홀리 나기와 라이오넬 화이닝거의 집, 게오르그 무헤와 오스카 슐렘머, 바실리 칸딘스키와 파울 클레의 집 순서로 배치되었다. 정원의 규모가 점점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필지의 공평한 분배보다는 건축적, 도시설계적 원칙이 더 중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마이스터하우스 배치도(isometriy). 그로피우스 1930. Fischer 2009; 68

위치

학교 캠퍼스에 위치하지 않고  약 550 미터 떨어진 곳에 있는 소나무 숲 속에 자리잡았다. 대개는 그로피우스가 위치도 선택했다고 알려졌으나 이에 대해 두 가지 설이 있다. 집터를 찾기 위해 데싸우 시의 건설국장과 마이스터 부부들이 함께 땅을 보러 다녔는데 칸딘스키의 아내 니나 칸딘스키가 소나무 숲이 너무 마음에 들어 건설국장에게 요구했다는 설과, 그로피우스 자신이 <내 평생 소원이 소나무 숲 속에서 사는 거였다. 바로 여기다 짓겠다>고 했다는 설이 나란히 존재한다.

정원


마스터하우스 정원 역시 완벽한 미니멀리즘 개념을 따랐다. 다만 소나무 숲이라는 유리한 입지로 인해 황량한 캠퍼스와는 전혀 다른 느낌을 전해준다. 그로피우스는 소나무 숲에 일체 손을 손대지 않고 그대로 둘 것을 지시했으며 하부 식물층은 물론 화단 등의 정원적 요소 역시 거부했다. 집 앞과 측면에 사각형의 잔디밭을 조성한 것이 전부이며 잔디밭 위에 드물게 소나무를 남겨두어 소나무의 길고 검은 기둥과 백색 입방체의 건축 미학을 첨예하게 대비시켰다.

길은 모두 직선으로 냈고 부식토를 퍼낸 후 모래만 깔았다. <자연을 손대지 않은 상태로 두고 건축의 인공 미학과 만나게 한다.>는 것이 그로피우스의 정원 개념인 듯했다. 당시의 조경 도면이 전해지지 않지만 건축 설계도와 여러 문서들과 사진 자료를 분석하고 정원고고학을 통해 얻어진 결론이다.

그로피우스는 실제로 창 틀에 선인장 화분을 나란히 정렬해 놓은 이외 일체 정원을 가꾸지 않았지만(시간이 없었다고 한다), 칸딘스키 부부는 작은 면적을 할애하여 장미, 아욱 등을 심어 길렀다. 아늑한 정원은 가질 수 없었으나  숲 속의 백색 건물이 보는 이로 하여금 숨을 멎게하는 특별한 아름다움이 있었음은 부정할 수 없다.

건축


조립식 축조기법 적용

마이스터 하우스에서 발터 그로피우스는 조립식 건설 방식을 시도했다. 이를 통해 합리적, 효율적 축조법을 구현하고자 했다. 건축 설계 뿐 아니라 건설 과정 자체를 산업화하는 방식이었다. 당시 기술로는 백퍼센트 구현이 어려워 일부만 구현되었다. 그로피우스는 이후 평생 조립식 합리적 건설 기술의 발전에 집요하게 매달렸다.

마이스터하우스에서는 크기가 다른 입방체를 서로 요철 방식으로 맞물리게 하는 원칙을 고안하여 독특한 건축양식이 탄생했다. 도로쪽으로 유리창 면적이 넓은 아틀리에를 배치하고 측면으로는 긴 띠형의 창문을 배치하여 계단실에 빛이 넘치도록 배려했다. 표면은 백색으로 칠했고 넓은 테라스와 발코니를 붙였다. 창틀, 발코니 아랫면, 계단 난간 등에만 색으로 엑센트를 주었다.

who’s who

발터 그로피우스, 라슬로 모홀리-나지/슐렘머 주택의 가구는 마르셀 브로이어가 모두 디자인하고 직접 만들어 주었다. 다른 마이스터들은 자신이 쓰던 가구들을 가지고 입주. 그외 붙박이 장과 모던한 살림도구들이 설치되었다. 실내 색채디자인은 파울 클레와 칸딘스키가 담당했다. 여기서 살던 입주자 명단은 who’s who에서 한 페이지를 잘라낸 듯하다. 라슬로 모홀리-나지, 라이오넬 파이닝거, 게오르그 무헤, 오스카 슐렘머, 바실리 칸딘스키 그리고 파울 클레 등이 입주자였으며 후일 한네스 마이어와 미스 판 데어 로에, 요제프 알버르스Josef Albers 등이 살았다.

복원


1932년 폐교된 뒤 마이스터하우스는 임대 주택이 되었다. 전쟁 때 교장 관사가 담장만 남겨두고 파괴되었다. 전후에 일반인이 토지를 매입하여 전통 양식으로 집을 짓고 살다가 최근에 다시 오리지널로 복구되었다. 루드비히 미스 판 데어 로에가 데싸우에 건설한 유일한 건축, 음료수 판매장도 복구되었다. 나머지 마이스터 하우스는 파괴되지는 않았으나 심하게 낡고 변형되었다가 1992년에 일차 보수되었다.

그 중 칸딘스키/클레 하우스는 다시 복원되고 있는 중이다. 1992년 복원 당시 특히 색채가 말끔히 복원되어 큰 인기를 끌었다. 수십 만명의 방문객이 다녀가고 전시회와 각종 행사를 치렀기 때문에 다시 보수의 필요성이 생겼다. 보험회사 뷔스텐로트Wüstenrot 재단에서 프로젝트를 완전히 떠맡아 건축가 빈프리드 브렌네에게 복원 설계와 공사를 의뢰했다. 뷔스텐로트 재단은 이미 1998-2002년 무헤와 슐렘머 하우스의 복원을 지원한 바 있다.  2019년 백주년을 맞아 말끔히 새단장한 상태로 4월 부터 방문객을 맞을 계획으로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원 복원


2000년부터 조경도 복원을 시작하여 2014년에 끝났다. 다만 칸딘스키/클레 하우스 복원 공사가 다시 시작되었으므로 일부 조경이 다시 헤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우선 문화재관리를 위한 콘셉트부터 수립되었다.

조경 복원의 핵심은 수직으로 서로 교차하는 길 시스템이며 소나무 숲이다. 오랜 시간이 지나는 동안 길이 사라지거나 변형되었고 소나무 들이 너무 성장했기 때문이다. 수직 교차로를 복원하고 일부 늙은 소나무를 어린 소나무로 대체했다. 그 외에는 그로피우스 관사의 정원 돌담을 다시 쌓은 것이 전부다.

복원전의 상태를 보면 전쟁 뒤 완전히 변형된 주택들과 우거진 식생으로 인해 본래 의도했던 대비의 느낌이 완전히 사라진 상황이었다.

동북쪽, 즉 도로쪽에서 바라 본 마이스터 하우스들. 그로피우스의 제자 칼 피거Carl Fieger의 1925년스케치. FIscher 2009; 66-67

 

바우하우스 마이스터하우스 단지 조경 복원 콘셉트. 설계: Uwe Merz

 

마이스터 하우스 옛 사진


 

복원된 마이스터하우스


 

참고 문헌


  • Walter Gropius, Bauhaus Bauten Dessau, albert langen verlag 1928.
  • Dorothea Fischer-Leonhardt, Die Gärten des Bauhauses, Gestaltungskonzept der Moderne, 2. Aufl. Jovis Verlag 2009

Links


 

©서양정원사 백과

Related entries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