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류 Tamarix

위성류 과의 소교목. 전 세계적으로 약 55~60종 분포. 종에 따라서는 관목형태로 자라는 것도 있으며 지중해 유역, 북아프리카로 부터 인도, 파키스탄, 중국 북부까지 널리 분포. 유럽에서 미대륙으로 유입됨. 사막이나 척박한 광야의 전형적인 식물. 염분이 조금 섞인 땅에 주로 서식하나 고산지 하천 변에서도 볼 수 있음. 파키스탄 26종, 중국 18종으로 가장 많이 . . . 계속 읽기

이네니 Ineni

고대 이집트 18대 왕조의 건축가. 아멘호텝, 투트모스 1세와 2세 그리고 하트셉수트 여왕과 투트모스 3세와의 공동 통치 때가지 오랜 기간 왕국의 주요 건설을 책임자였다. <Yoon> [gap height=”30″][clear]

이마라티 후스라우 Imarat-i Khusrau

특정한 도시나 왕궁 혹은 신전이 아니라 에미레이트, 즉 후스라우 왕대의 영토 전체를 말한다. 이 시대의 왕궁은 지금도 남아있는 것도 있고 타키부스탄 Taq-i-Bustan에 대형수렵원과 정원이 존재했었던 흔적이 발굴되었다. 이의 거대한 암각화 사산왕조를 마지막으로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역사는 막을 내리지만 향후 이슬람이 지배하는 아랍문화권에서 페르시아의 파라다이스 정원의 기본양식을 그대로 이어받게 되므로 서아시아의 정원양식은 . . . 계속 읽기

조류 정원 aviary

새들을 넣어 기르는 시설. 본문에서 바로가 묘사하는 aviary는 단순한 새 사육장이라기보다는 엄청난 규모의 새들을 위한 정원으로서 대리석 기둥을 세우고 격자창과 둥근 지붕으로 덮었으며 내부에 연못이 있고 개천이 흐르며 모든 종류의 새들이 함께 살아가는 새들의 왕국을 연상시킨다. (Varro, Re Rustica. Book 3, 제IV장)

카나트 qanats

기원이 얼마나 오래된 것인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늦어도 기원전 2000년 전부터 이용했었을 것으로 추정하지만 기원전 720년경 사라곤 2세가 최초로 기록을 남겼다. 카나트는 원칙적으로 구릉지대의 지하수층에 우물을 뚫고 지하수로를 서로 연결하여 평야의 건조지대에 물을 댈 수 있도록 고안된 시설이다. 때로는 다발관 형태의 수로를 연결하기도 했다. 중국 투르판으로부터 서아시아지역 전역과 아프리카에 분포되어 . . . 계속 읽기

카르나크 신전

고대 이집트 최대 규모의 신전. [responsive] [/responsive] 룩소르 북쪽 약 2.5 킬로미터 떨어진 카르나크라는 마을에 위치하며 강에 직접 면하고 있다. 고왕국 제 12 대 왕조 세누스트레스 왕이 건조하기 시작하여 로마 황제 대까지 지속적으로 증축되거나 개축되어 신전 복합체로 성장했다. 아문-라의 신부 무트 여신과 아들 콘수 신을 위해 각각 별도의 구역이 마련되었다. 위의 . . . 계속 읽기

콜루멜라 Lucius Iunius Moderatus Columella (AD 4~70년 경)

에스파냐 출신. 세네카와 거의 같은 시대의 사람이다. 『농업론 De Re Rustica』(12권)을 저술하였는데, 그것은 고대 농업관계의 중요한 전거(典據)가 되었다. 1∼2권은 일반 농경, 3∼5권은 과수, 6∼7권은 목축, 8권은 가금(家禽)과 양어(養魚), 9권은 양봉(養蜂), 10권은 조원술(造園術)에 관한 것인데, 10권은 6각률(六脚律)의 시문(詩文)으로 되었다. 다음 2권은 농사의 감독이나 경영, 주조법(酒造法) 등이고, 그의 『식수론(植樹論)』도 현존하나, 그 밖의 . . . 계속 읽기

콤 옴보 신전 Kom Ombo Double Temple

고대 이집트. 세베크 (악어신)과 호루스 신을 모셨던 이중 신전. 상 이집트 나일강변 콤 옴보에 위치. 프톨레마이오스 6세 대인 기원전 304년에 건조가 시작되어 31년경에 완성되었으나  장식은 서기 2-3세기까지 지속되었다. 콤 옴보는 고대에 옴보스 혹은 옴보이라고 불렸으며 고대에 엘레판티네와 함께 상이집트의 행정 중심지였다. 신전을 좌우 대칭으로 나누어 오른 쪽은 악어신 세베크, 오른쪽은 . . . 계속 읽기

크라테우아스 Crateuas(100 BC 경)

고대 로마시대의 의사. 약용식물을 총망라한 초본서를 총 세권 집필했으며 그 중 한 권에는 식물을 알파벳 순으로 분류하고 각 식물의 그림을 그려 넣었다. 이로서 최초의 식물도감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그의 식물도감은 분실되어 전해지지 않고 있지만 후세의 디오스코리데스가 그의 도감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약물도감을 집필함으로써 간접적으로나마 알려지게 되었다. (페이지 52 이하 디오스코리데스 『약물에 . . . 계속 읽기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