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챔버스 William Chambers (1726-1796)

스코틀랜드 출신의 영국 고전주의 건축가. 왕립 미술학교Royal Academy of Arts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대표작은 런던의 서머셋 하우스(1776~1786), 큐가든 Royal Botanic Gardens의 중국파고다, 대영제국 왕실에서 대관식 때 쓰는 황금마차 등이다. 그의 작품보다는 이론가로서의 명성이 더 높다.

목차

생애와 작품


윌리엄 챔버스William Chambers의 초상화. 화가: Francis Cotes. 1764년 작. National Galleries of Scotland 소장. Francis Cotes [Public domain]

스웨덴의 에테보르히Göteborg에서 출생, 런던에서 사망. 유년기에 영국 리펀으로 이주. 1740년 스웨덴의 동인도 회사에 취직. 이후 약 10년간 인도와 중국을 포함한 동방의 각국을 여행했다.

중국에 여러 차례 체류하며 중국의 건축과 정원을 연구했으며 1749년 파리의 예술학교에 입학, 일년간 프랑수아 보론델Jacques-François Blondels에게 수학했다. 1750년경부터 5년간 로마에 있는 영국 예술학교[1]Academy of English Professors of the Liberal Arts에서 고대 및 이탈리아 르네상스 건축을 공부한 후 1755년 귀국.

초기작

이후에도 프랑스 건축가들과 친밀하게 교류. 런던에서 가장 큰 건축가 사무소 운영. 영국의 황태자비 아우구스타의 의뢰를 받아 큐가든(1757~1762) 설계에 관여, 1758년부터 화가 요한 하인리히 뮌츠 Johann Heinrich Müntz와 함께 큐가든의 스타파주 건축물들을 완성했다.

1757년에서 1763년까지 리치몬드 공작의 수렵궁 굿우드 하우스 증축, 그중 마사 복합체를 설계. 그의 작품 중 가장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되고 있다.

후기작

1768년 왕립미술학교 맴버로 추대. 로버트 아담과 함께 조지 3세의 왕실 건축가가 되었으며 1782년에는 건축 총감으로 임명되어. 영국의 모든 왕립 건축물의 신축, 증축 및 관리의 임무를 부여받았다. 왕실전속 건축가로서 국제적 명성도 얻었다.

 1761년 로버트 아담과 나란히 왕실 건축가가 되었으며 1782년에는 건축 총감이 되었다. 프랑스와 로마에서 철저하게 교육받은 덕에 기반이 탄탄하며 깊이있는 고전양식의 건축가로 평가된다. 한편 묵직하고 남성적인 건축으로 프랑스 적 우아함과 유희적인 요소, 안락한 느낌이 결여되었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저서와 이론


중국 여행에서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1757년 『Designs of Chinese Buildings, Furniture, Dresses, etc』, 1759년에 『Treatise on Civil Architecture(일반 건축론)』을 출판했다. 1772년에 중국 정원에 대한 고찰 A dissertation on oriental gardening을 발표하여 중국정원 붐을 일으키는 데 일조했다.

중국정원에 대한 고찰과 <중국풍 영국 정원jardin anglo-chinois>

그가 집필한 “Designs of Chinese Building”은 1750년대에 유행했던 유치한 중국풍의 건축물을 향한 비난의 칼날이었다. 그러나 오히려 건축보다는 중국정원에 대한 호기심을 부추기는 결과를 빚었다. 큐가든의 중국풍 파고다를 비롯하여 1772년에 발표한 중국정원에 대한 고찰을 통해 프랑스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프랑스에서 <중국풍 영국 정원 jardin anglo-chinois>이라는 개념이 생겨 크게 유행하게 되었다.

챔버스는 장면이 수시로 바뀌며 서로 상반되는 장면들을 보여주는 중국정원의 특징을 대단히 모범적인 사례로 여겼다. 중국정원의 장면들이 “위협적 장면에서 감상적인 장면 사이의 경계를 넘다든다고 설명하며, 이런 식으로 방문객들의 오감을 자극하여 사로잡아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는 이 같은 시기에 시작된 초기 낭만주의의 호로 소설과도 맥을 같이한다. 예를 들어 불 탄 건물 폐허 안에 굶주린 짐승들이 살고 있다거나, 고문 도구들이 흩어져 있고 지하 감옥에는 고문받는 자들의 비명소리가 들려온다거나 또는 인공 화산에서 붉은 화염이 치솟는 식이다.[2]실제로 독일 뵈를리츠 파크에 이 인공 화산이 조성되었다. 한 때 한국에서 유행했던 감성정원과 같은 의미일 것이다.

정원에 미친 영향과 평가

공원 방문객들은 비밀스런 동굴 속에서 전설적인 왕과 영웅들의 시체를 만나고 역사적으로 악명을 떨쳤던 잔인한 범죄자들을 만나게 된다. 배경에는 음악분수에서 으시시한 음악이 연주된다. 방문객들은 시각, 청각적으로 뿐 아니라 인공지진, 전기쇼크, 인공소나기, 폭발 등으로 단단히 괴롭힘을 당한다. 그 반면 낙원같은 장면으로 가면 아름다운 피리소리와 새소리가 들리고 녹색 잔디밭에서는 아름다운 타타르 소녀들이 투명한 옷을 입고 나타나며 방문객들에게 와인을 따라주고 화환을 걸어준다. 그리고 망고나 파인애플 등 낙원의 열매들을 서비스해 주고 나서 푹신한 침대로 인도해 준다. 여기서 방문객들은 달디 단 오수를 즐길 수 있다.

디즈니랜드 등의 놀이공원을 연상시키는 이런 정원컨셉은 기존 이론가들의 콘셉트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성격의 것이었다. 철학자 헨리 홈 Henry Home, Lord Kames는 그의 저서 “비평의 요소 Elements of Criticism”에서 챔버스와 버크를 인용하며 예술의 목적성이란 감정을 일깨우는데 있다고 했으며 정원은 바로 이렇게 서로 다른 감성을 유도할 수 있는 장면들이 빠르게 변화하도록 조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웨이틀리는 더 나아가서 계절과 하루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장면을 요구했다. 그러나 챔버스의 <호로-낙원 정원> 묘사는 당시 영국 조경계를 지배했던 렌셀롯 브라운의 천편일률적인 정원에 대한 항거로 이해되고 있다.[3]Buttlar 1989 : 60

챔버스는 그의 “키친 샐러드 정원”이란 글의 도입부에서 브라운의 정원을 실날하게 비판했다. 그의 정원은 도식적이며 천편일률적이고 자연을 그대로 모방한 것에 불과하며 예술성은 찾아볼 수 없다고 지적하며 그냥 자연경관 속에 있는지 아니면 비싼 비용을 들여 조성된 정원인지 분간이 가지 않는다고 했다. 프랑스 건축가 Julien-David- Le Roy에게 보낸 편지 속에서 그는 중국정원 운운 한 것은 핑계에 불과했다고 고백했다.

1773년 윌리엄 메이슨William Mason과 호레이스 월폴은 “윌리엄 챔버스의 영웅적 모험”이라는 풍자시를 발표하여 챔버스의 정원개념을 낱낱이 해부했다. 그중 메이슨의 글은 단 한 해만에 10판이 인쇄되었다. 그 때까지 윌리엄 메이슨은 무명인사였다. 이 풍자시 속에서 메이슨은 윌리엄 챔버스의 과장된 ‘예술성’을 비꼬기도 했지만 무엇보다도 그가 영국정원의 중요한 두 가지 도덕성에 위배된다고 설파했다. 우선 챔버스는 영국인들의 창조물인 풍경화식 정원의 정신적 유산을 빼앗고, 중국정원과 대비시켜 우스꽝스럽게 만들었으며, 둘째로 북경에 있는 중국 황제의 정원을 모범적인 사례로 꼽았는데 이는 국가의 완벽한 미니어처 모형에 불과한 것이라 꼬집었다. 그 반면에 중국 지방 유지들의 정원은 귀족들의 놀이터에 불과하며 이를 영국정원에 비교하는 것은 영국풍경식정원의 기본 정신, 즉 자유로움의 추구를 완전히 묵살한 것이라고 했다. 조지 3세왕의 충실한 신하였던 챔버스는 풍경화식 정원을 왕실정원에 도입한 최초의 인물이었다. 이로써 잰틀맨들이 왕권에 저항한다는 이념이 무효화되었으며 유럽대륙으로 건너가 왕실의 정원으로 탈바꿈하게 되는 결과를 빚었다. 유럽 대륙의 권력자들이 챔버스의 이론과 챔버스의 큐가든을 모델로 삼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4]위의 책: 62

 

윌리엄 챔버스의 대표작

http://commons.wikimedia.org/wiki/File:Somerset_House.jpg

윌리엄 챔버스William Chambers (1726-1796)의 대표작, 런던의 서머셋 하우스. © Jan van der Crabben via Wikimedia Commons. License: CC-BY 2.0. Listed Building no 1237041

 

 

참고 자료


  • 고정희, “일 헥타르에 압축된 세계 – 큐가든의 폴리들”, 환경과 조경, may 2015, pp. 124-125.
  • Adrian von Buttlar (1989), Der Landschaftsgarten. Gartenkunst des Klassizismus und der Romantik, DuMont, Ostfildern.
  • Wikipedia.de/William Chambers 

 

© 서양정원사 백과/윌리엄 챔버스

 

Related entries

각주

각주
1 Academy of English Professors of the Liberal Arts
2 실제로 독일 뵈를리츠 파크에 이 인공 화산이 조성되었다.
3 Buttlar 1989 : 60
4 위의 책: 62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