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베르토 부를레 마르크스Roberto Burle Marx(1909-1994)
로베르토 부를레 마르크스Roberto Burle Marx(1909-1994). 브라질 조경가, 식물 수집가, 화가. 1909년 8월 4일 상파울루에서 출생, 1994년 6월 4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사망. 조경의 모더니즘을 ‘발명’했다.
생애와 작품
아버지는 독일계 유대인으로서 브라질에서 성공한 사업가였으며 어머니는 프랑스계 음악가였다. 부유하고 화목하며 문화적 환경에서 자랐다. 미술 공부하던 중 시력이 몹시 나빠져 치료 차 온 가족이 베를린으로 이주. 1928/1929년 베를린 체류 중 유럽 아방가르드에 크게 영향을 받는 한편 베를린 식물원에서 브라질 자생 식물에 대한 관심을 키운다. 독학으로 정원 예술을 공부하기 시작. 나치스의 등장으로 베를린 체류를 중단하고 귀국. 건축 공부 시작. 루치오 코스타, 오스카 니마이어 등 브라질의 대표적 모더니스트 건축가와 교류. 1932년 첫 정원 작품으로 이웃의 옥상 정원 조성. 1934년부터 1937년까지 헤시피시의 공원 관리 책임을 맡게 되며 본격적으로 조경가의 길을 걷게 된다.
1935년 카사 포르테 플라자 조성 시에 처음으로 브라질 열대 식물을 심어 물의를 일으킨다. 당시 유럽 이주민이 브라질 도시 및 정원 문화를 주도한 까닭에 유럽 풍이 지배적이었기 때문. 1949년 농장을 구입하여 브라질 자생 식물 수집 및 재배 시작. 1955년 리우에 설계사무소를 열고 조경가, 화가, 조형 예술가로 활약하며 평생 약 2천 여의 작품을 남기게 된다.
식물 수집과 재배에 그치지 않고 브라질 자연보호운동에도 앞장섰다.
작품 세계
건축, 조경, 조형, 도시 설계, 생태, 식물 재배 등 분야의 경계를 넘나드는 전천후 예술가로 생전에 이미 브라질의 경계를 넘어 서구 사회에 널리 명성을 떨쳤다. 브라질 원주민 예술에서 영감을 많이 받았다. 이는 그의 트레이드 마크가 된 반 기하학적, 유기적 디자인에서 나타나며 벽면 부조 작품 등의 조형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리우데자네이루의 코파카바나 해변 산책로 등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과감한 필치로 소위 말하는 바닥 디자인을 처음으로 시도한 예술가였으며 이를 다시 벽면 디자인, 부조 등에도 적용하는 등 그 독특함으로 인해 그의 작품은 혼동이 불가 한 일회성을 가진다.
정원은 예술 작품이어야 함을 처음부터 원칙으로 내세웠다. 추상화를 연상시키는 강한 공간 미학에 풍부한 열대 식물을 적용하여 살아 있는 그림을 그렸다. 일방적으로 형태 미학에 치중하거나 식물만을 내세우지 않고 이들을 성공적으로 결합하여 20세기 조경의 모더니즘을 발명했다. 즉, 그 이전의 여러 조경가가 추구했던 표현주의 미술과 정원의 접목을 가볍게 성취해 낸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유일한 모더니즘 조경가로 평가되기도 한다.
연혁
1909 | 상파울루에서 출생 |
1913 | 리우데자네이루로 이주 |
1928-1929 | 베를린 체류 |
1930-1934 | 리우데자네이루 예술 대학 |
1932 | 슈바르츠 가족 개인 정원, 첫 작품 |
1934 | 헤시피 공원관리 책임자로 임명. 도시 광장과 정원 설계 |
1935 | 구스타보 카파네마 팰리스 조경. 루시오 코스타, 오스카 니마이어 등의 건축가와 공조한 작품. |
1937 | 헤시피에 생태 공원 조성. |
1944 | 프루덴시아 빌딩 로비의 세라믹 벽화 디자인 |
1949 | 리우의 남쪽에 80 헥타르의 과라티바 농장 구입. 식물 수집과 재배 시작 |
1950 | 베네수엘라 카라카스의 프란시스코 데 미란다 공원 조성 |
1953 | 리우데자네이루의 브라질 대학 캠퍼스 조경 |
벨루 오리존치 팜풀하 공항의 파크 조성 | |
1954 | 린도이아 시립 스파 파크 |
상파울루 이비라푸에라 공원 | |
1955 | 리우데자네이루 모던 아트 미술관 조경 |
1960 | 플로리아노폴리스 산타 카타리나 연방 대학교 시민권 광장 |
1961 | 브라질리아의 모뉴먼트 축 프로젝트에 참여. 워싱턴 D.C.와 흡사한 대형 중앙축. 연장 8km, 폭 250m. 루시오 코스타, 오스카 니마이어와 다시 공조한 도시 개발 프로젝트. |
리우 구아나바라 만, 플라맹고 공원: 약 2백 여종의 브라질 자생 식물을 심었다. 1964년 국가 문화재로 지정. | |
1968 | 워싱턴 D.C. 브라질 대사관 정원. |
1970 | 피아우이 주 정부 청사 카르나크 팰러스 조경 |
리우데자네이루 코파카바나 해변 산책로 : 약 4 킬로미터 연장의 해변 산책로 조경. 야자나무를 심고 길 포장을 흰색, 검은색, 붉은 색 자갈로 문양을 넣은 것으로 유명하다. | |
1971 | 플로리아노폴리스 매립지 공원 |
리오 브랑코 이타마라티 명예 훈장 | |
브라질리아 독일 대사관 정원 | |
1982 | 네덜란드 헤이그의 왕립 미술 아카데미 명예 박사 학위 |
런던 로얄 칼리지 오브 아트에서 명예 박사 학위 | |
1985 | 과라티바 농장을 국립 역사문화유산 연구소에 기증 |
리우데자네이로 라르고 다 카리오카 도시 재생 구역 도시 설계 | |
1990 | 이파칭가 시의 이파네마 공원 설계 |
1994 |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사망 |
2010 | 로베르토 부를레 막스가 생전에 남긴 설계에 따라 현대 미술센터 인호팀의 파크 조성. 약 삼 십만 평방미터의 대규모 정원. 수천 종의 식물로 이루어진 열대림에 가까워 2010년부터 식물원으로 개칭. |
갤러리
참고 문헌
- Adams, William Howard; Burle Marx, Roberto (1991): Roberto Burle Marx. The unnatural art of the garden. New York: Museum of Modern Art; Distributed by H.N. Abrams.
- Burle Marx, Roberto; Hoffmann, Jens; Nahson, Claudia J. (2016): Roberto Burle Marx. Brazilian modernist. New York, New Haven, Connecticut: The Jewish Museum; Yale University Press.
- Eliovson, Sima; Burle Marx, Roberto (1991): The Gardens of Robert Burle Marx. London: Thames and Hudson.
- Montero, Marta Iris (2001): Burle Marx. The lyrical landscape. London: Thames & Hudson.
© 서양 정원사 백과/인물/부를레 마르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