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분원이라는 용어는 페르시아 어의 차르바그에서 기원하며(페르시아어: چهار باغ, DGM 표준 번역: čahār-bāġ), 차르바그, 샤르바그 등 국가마다 조금씩 다르게 발음한다.) 길이나 수로에 의해 좌우 대칭의 네 개의 구역으로 나뉜 정원을 말한다. 이슬람 정원의 기본 양식으로 널리 알려졌다. 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 북부의 모굴 정원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으며 스페인 안달루시아 . . . 계속 읽기
현 잠무-카슈미르 주의 수도 스리나가르에 있는 무굴 정원 유산. 무굴 제국의 4대 황제 자한기르(1569-1627)가 1616년 스무 번째 황비 무르자한을 위해 조성했다. 총 12헥타르(540m x 183m)의 방대한 규모이며 한때 무굴 제국 정원 예술의 극치로 칭송되었다. 멀리 히말라야의 만년설을 바라보는 카쉬미르 골짜기는 풍요하고 비옥한 땅에 풍경이 매우 아름다워 자한기르 황제가 옥좌와도 바꿀 . . . 계속 읽기
이슬람 정원은 7세기 중반 아랍 제국의 건설과 함께 기존의 페르시아 정원의 조원 기법을 수용하고 이를 코란에서 묘사한 내세의 파라다이스와 접목시켜 나타난 정원 양식을 일컫는다. 초기 무슬림 정복 전쟁( 622년~750년)과 함께 이슬람 정원 역시 여러 대륙으로 전파되었다. 중앙아시아, 북아프리카, 이베리아 반도, 시칠리아, 키프로스 등 지중해 유역과 동쪽으로는 사마르칸트 동남으로는 인도와 파키스탄까지 . . . 계속 읽기
이란 카샨에서 수 킬로미터 떨어진 마을에 위치한 이슬람 정원. 일반적으로 <핀 정원>으로 알려졌으나 공식 명칭은 Bag-e Fin 또는 Bagh-e Fin이다. 차르바그(샤르바크)의 원형을 확대하여 전개한 것으로 널리 알려졌다. 사파비 왕조(1501-1736), 찬드 왕조(1750-1794) 및 카차르 왕조(1794-1925)의 건축적 요소들이 서로 접목되어 있다. 수많은 분수, 연못, 수로 등이 조성되어 있는 물의 정원이며 북쪽에 큰 전각을 . . . 계속 읽기